어디서나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팔공산 절벽 동굴 속에
모신 천년 전 부처님
가까이 뵙지 못하고
돌아선 아쉬움에
다음을 기약할 수밖에
경북 여행 http://work-study.tistory.com/9
대한민국 국보와 보물 http://work-study.tistory.com/7
9594의 유튜브 영상 http://9594jh.blog.me/220503748028
내 고향이 군위지만 군위 삼존 석불을 제대로 만난 적이 없다. 가까이 있는 것의 소중함을 몰랐던 것이다.
제2석굴암으로 불리던 군위 삼존 석불의 정식 명칭은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이다. 극락 세계의 부처님 아미타불을 모신 것으로 보아, 원효대사의 서민 중심의 아미타 신앙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보통 명절 때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지만 서대구IC 가 붐벼서 팔공산 순환도로를 드라이브하는 기분으로 달리니 여유가 생긴다. 팔공산 한티재를 넘어 군위 삼존 석불을 둘러보았다.
원래 이곳은 신라 눌지왕 때 아도화상께서 공부하시던 곳이었고, 원효대사께서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을 모신 삼존 석불을 조성했다. 그 시기가 경주 석굴암보다 100년 정도 앞선다.
그러나 폐사지로 있다가 1960년대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곳에 이런 보물이 있는 줄 몰랐고, 팔공산 순환도로가 뚫리기 전에는 산간 오지 마을이었다.
지금 삼존 석불 주변에는 음식점들이 가득하다. 음식점 사이 좁은 길에는 배고픈 중생의 차들이 있어서 번잡하다. 위쪽 공용 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렵게 주차를 하고 절벽 쪽을 바라보면 이곳에 무엇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러나 극락교를 건너면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경주 석굴암이 정확히 계산된 인위적인 석굴이라면, 군위 석굴암은 천연 절벽에 동굴을 뚫고 불상을 모셨는데 그 기품이 만만치 않다.
아쉽게도 개방이 되지 않아 멀리서 바라 볼 수밖에 없다
문화재청에서는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가운데 본존불은 사각형의 대좌(臺座) 위에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위로 향한 자세로 앉아 있는 모습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있으며, 얼굴은 몸에 비하여 큰 편으로 삼국시대 불상에서 보이던 친근한 미소 대신 위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옷은 얇게 걸치고 있어서 당당한 신체의 굴곡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으며, 옷자락은 넓은 무릎을 거쳐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 아래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같은 양식을 보여주는 좌우의 보살상은 각각의 머리에 작은 불상과 정병이 새겨진 관(冠)을 쓰고 있다. 가슴 앞에는 목걸이를 걸치고 팔에는 팔찌를 끼고 있으며, 옷은 길게 U자형의 주름을 그리면서 내려오고 있다. 이들 보살상은 날씬한 몸매에 어울리는 신체 비례와 목·허리·다리 3부분을 비틀고 있는 모습에서 새롭게 수용된 중국 당나라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삼국시대 조각이 통일신라시대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높은 문화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자연 암벽을 뚫고 그 속에 불상을 배치한 본격적인 석굴사원이라는 점에서 불교 미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군위 삼존 석불을 제대로 만나지 못하고, 아래쪽에서 부처님의 눈길을 바라보면서 아쉬움을 달랜다.
석불 앞 뜰에는 원래 3층이었으나 훼손 되어 단층으로 남은 모전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1호)이 남아 있었고, 그 앞쪽에는 9세기 후반기의 불상인 석조비로자나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8호)이 광배 없이 앉아 계신다.
옆으로 법당 비로전에는 밝은 빛으로 중생을 바른 길로 이끄는 비로자나불을 모셨는데, 부처님 뒤의 후불 목각 탱화와, 제석천과 영가단의 목각 탱화들이 돋보인다.
가을 단풍이 들었을 때의 고운 빛깔을 상상하면서 아직은 푸른 기운이 있는 군위 석굴암을 나왔다.
군위 석굴암
'경북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원 석불, 안동 이천동 석불, 연미사 잘생긴 부처님, 보물 제115호 (0) | 2015.11.22 |
---|---|
봉화 청량산 청량사, 가을 여행, 사찰 여행, 봉화 여행 (0) | 2015.11.21 |
갓바위 부처님, 관봉석조여래좌상, 수능 대박, 보물 제431호 (0) | 2015.11.12 |
문수산 축서사, 봉화 여행 (0) | 2015.11.09 |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국보 제14호 (1) | 2015.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