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남여행

통도사 2015년 가을, 삼보사찰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 불법승(佛法僧, 부처님, 부처님 말씀, 스님)이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불보 사찰 통도사, 법보 사찰 해인사 승보 사찰 송광사와 함께 우리나라 3대 가람이 된다.

부처님께서 설법했던 산 이름과 같은 영축산(靈鷲山) 통도사는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율사가 세운 절이다. 자장율사가 당나라로부터 귀국할 때 가져온 부처님의 사리와 승복 가사(袈裟),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로 대장경을 모시고 창건하였기 때문에 초창기부터 중요한 절이었다.



2011년 통도사 http://9594jh.blog.me/151215409

사찰 여행 http://9594jh.blog.me/173236112


큰 절이기에 항상 사람들이 붐비는 통도사지만 오후에 차박 여행으로 만난 통도사는 가을 분위기 속에 비교적 여유롭게 만날 수 있었다.

통도사 일주문에는 불지종찰(佛之宗刹, 절의 종갓집) 국지대찰(國之大刹, 나라의 큰 절) 주련이 걸려 있다.



통도사의 산문은 매표소로부터 시작하지만 부도비 옆에 다시 영축총림 산문이 있고 산문을 지나면 성보 박물관이다.




이른 아침이지만 개산대제 중이어서인지 절을 찾는 사람들이 일주문을 들어서서 연등 아래 천왕문을 들어서면 바로 옆에 절을 지키는 가람각이 있다.


통도사는 하로전과 중로전 상로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천왕문에서 불이문 사이에 있는 공간이 하로전이다.

하로전에는 사물이 있는 범종루와 누각 아닌 누각 만세루와 뒷부분에 청색 벽화가 있는 아미타불 모신 극락보전, 영산법회가 열리는 영산전, 약사여래불을 모신 약사전이 있고, 절을 지키는 용이 있다는 구룡지가 있다. 그리고 모든 전가의 중심에 보물 제1471호 전형적인 신라의 3층 석탑 통도사 삼층석탑이 있다. 


범종루와 만세루



극락보전 영산전 약사전




구룡지와 보물 제1471호 삼층 석탑 https://youtu.be/8EIOIiMLRo4



대들보가 없는 불이문 즉 해탈문을 지나면 중로전이다. 

중로전에는 관음보살 모신 관음전과 미륵불 모신 용화전, 비로자나불 모신 대광명전, 창건주인 자장율사 모신 개산조당, 관음전과 용화전 사이에는 보물 제 471호인 봉발탑은 석가모니께서 후계자에게 전해 주는 발우를 형상화했다.



관음전과 용화전



대광명전과 개산조당



보물 제471호 봉발탑 https://youtu.be/LfgXCR9xQTo



오층석탑 너머부터는 상로전이다. 상로전에는 국보 제290호 대웅전과 금강계단을 중심으로 지장보살 모신 명부전, 16제자 모신 응진전, 삼성을 모신 삼성각과 산신을 모신 산령각 그리고 절을 지키는 용이 있는 구룡지가 있고, 400평이 되는 법당 설법전이 있다.



국보 제290호 대웅전과 금강 계단 https://youtu.be/FHSSUhP-Gdo



응진전 구룡지 삼성각과 산령각




명부전 설법전



상로전 마당의 괘불대에 보물 제1350호 통도사 괘불탱이 영축산을 병풍삼아 올라가는 괘불 헌공행사는 압권이었다.

통도사 괘불 헌공 http://9594jh.blog.me/220514844247




산문을 나선 통도사는 초가을의 풍경이 곱다.


경남 양산 통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