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교사 박전현

망미대(望美臺), 김삿갓 종명지, 김삿갓 유적, 화순군 동북면 구암마을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을 버렸기에 더 빛난 김병연김삿갓이 아름다움을 만난 바위 망미대(望美臺) 김삿갓은 거닐었다 안개속 저 들길을무등산, 옹성산 적벽을 돌며노래하다 쉬어간 곳 인심좋던 화순 동복 구암마을벼는 누렇게 익어가는데 김삿갓은 안개속에 숨어 나오지 않네 국회의원을 지낸 박계동 시다. https://youtu.be/0SAYnw27fQw바위와 동굴 이야기 http://9594jh.blog.me/188366076 김병연(金炳淵)은 과거에 응시해서 홍경래의 난에 항복한 김익순(金益淳)을 비판하는 내용의 글로 과거에 급제 한다.기쁨도 잠시 급제 사실을 들은 어머니의 얼굴이 밝지 않았다. 김익순 사건 이후에 김병연 가족은 황해도로 도망 와서 살았고 어린 김병연은.. 더보기
연곡사 삼층 석탑 보물 제151호, 지리산 피아골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순결한 탑 연곡사 삼층석탑은 2중 받침돌이 아니라, 3단 받침돌 위에 서 있다. ​ 단풍이 아름다운 피아골 연곡사에 가면 순결한 삼층석탑이 하얗게 기다린다 https://youtu.be/rjZKYpqK2Y8 국보와 보물 http://9594jh.blog.me/173236474 한국의 탑 http://9594jh.blog.me/185430697 불교에서 탑, 역시 부처님이 계시는 곳이다. 그래서 돌로 만들어도 집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연곡사 삼층석탑은 받침돌에도 모서리 기둥(우주)와 가운데 기둥(탱주)을 새겼다. 받침돌은 면석과 갑석 모두 여러 개의 돌을 맞추어 짰다. 탑의 몸돌과 지붕돌은 1개의 돌로 되어 있다. 몸돌의 모서리 기둥을 새겼고 .. 더보기
용문사 윤장대, 보물 제684호, 예천 볼거리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돌리면서 마음 닦는 윤장대 글자를 모르는 이들도부처님 가까이 갈 수 있는길이 아니었을까? https://youtu.be/_hqwIPeyLzo예불과 사물 http://9594jh.blog.me/185550769 관촉사에 들렀을 때 마당에 설치된 윤장대를 처음 만났다.그리고 여러 절에서 윤장대를 만났지만 그러려니 했다.우연히 들린 예천 용문사 대장전에서 윤장대를 보고는 생각이 달라졌다. 팔부신중(불법을 지키는 신)팔대보살(중생을 옹호하는 여덟 보살)8각으로 된 탑과 8각으로 된 부도불교에서 8이라는 숫자는 의미가 있는 듯하다 용문사 윤장대도 그렇다.팔각으로 된 집이다. 윤장대(輪藏臺)는 바퀴 달린 불경을 보관하는 책장이다. 대부분 아랫부분은 회전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