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남여행

화엄사 2015년, 지리산에 핀 꽃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주문이 작은 절

화엄사는

금강문과 천왕문을 지나면서

크게 열리고

지리산은

부처님의 육계가 된다

 

2011년 화엄사 영상 http://9594jh.blog.me/151214196

사찰 여행 http://9594jh.blog.me/173236112


큰 사찰 중 일주문이 가장 작은 절이 화엄사다.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지는 화엄사는 지리산에 핀 꽃이다.


전라남도 구례군 지리산에 있는 대표적인 사찰 화엄사. 2011년 대중교통으로 들러서 만났다. 그러나 아무것도 모르는 시절이라 제대로 만나지도 못했고

그 이후에 각황전 화재 사건이 있어서 궁금하기도 했지만 제대로 만나기는 쉽지 않았다

차박 여행길에서야 화엄사를 제대로 만날 수 있었다.

백제 성왕 22년(544)에 인도 스님이신 연기조사께서 화엄사를 창건 후, 백제법왕(599)때 3천여 명의 스님들이 계시면서 화엄사상을 백제 땅에 꽃피웠다고 한다.


이곳 화엄사도 왜란의 피해를 입었다. 임진왜란 때 왜구와 싸우다가 모든 당우가 전소되었고 지금의 당우는 대부분 그 이후에 중수된 것이다.


화엄사에는 담장 가운데 작은 일주문이 있다.

경상도 쪽 절은 일주문은 길 가운데 그냥 서 있지만 전라도쪽 절의 일주문은 돌담장 가운데 솟을 대문처럼 서 있다.

일주문을 지나면 적당히 가파른 길을 오르는 사람들이 붐비고 위로 지리산이 주는 맑은 기운이 흐르는 하늘이 열린다.




화엄사에는 용도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돌항아리가 있다. 화엄사의 전체적인 모습이 배를 닮았기에 항해 중에 중요한 물을 담을 필요가 있어서 조성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안내판에 씌어 있었다. 돌다리도 두드리며 건너는 안전제일 정신이 담긴 듯하다.


화엄사 두 번째 문 금강문을 지나서 바라보는 가을 지리산 능선과 하늘이 아름답다.



화엄사의 해탈문은 절을 지키는 사천왕 계시는 천왕문이다. 천왕문을 지나면 범종루 보제루, 법고루가 웅장하고 지리산 봉우리가 병풍이 된다.



마침 사시예불 시간이라 우렁차게 울리는 범종소리가 세상을 울리면, 오른쪽 옆의 법고루는 그 소리를 듣고 있다.


화엄사 범종 소리 https://youtu.be/944nIQAbCaY


범종루와 법고루 사이 보제루는 2층 누각형태로 되어 있으나 1층의 기둥을 낮게 만들어 누각아래가 아닌 옆으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상단 법당과 조화를 강조하기 위해서 였다고 한다.



강당 보제루 옆으로 들어서면 마당에는 화엄사 오층석탑이 두 개가 있다.

보물 제132호 화엄사 동오층석탑은 화장기 없는 시골 아가씨 같이 조각 없이 수수한 모습이다.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 제132호) https://youtu.be/9eIO3PaDnaI


보물 제133호 화엄사 서오층석탑 받침돌부터 화려한 조각이 있어서 짙은 하장을 한 도시 처녀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 제133호)  https://youtu.be/r-CHn9jFegw


윗단에는 높은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국보 제67호 각황전과 보물 제67호 대웅전을 비롯한 예불공간이 펼쳐져 있다.

국보 제67호 화엄사 각황전은 우리나라의 법당 중 가장 규모가 큰 건물이다. 원래는 장륙전이었으나, 숙종이 내린 각황전(覺皇殿)이 되었다고 한다. 


화엄사 각황전(국보 제67호) https://youtu.be/5PpuCzl1DyY


각황전 앞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등이 있는데 국보 제12호이다.

화엄사 석등(국보 제12호) https://youtu.be/xOckht3MEgE


보물 제300호 각황전 앞 사자탑은 특이한 형태의 탑이 있는데, 이 탑을 노주(노반지주(露盤之柱, 장식이 있는 받침대)’라고도 하는데 그 성격은 확실치 않다.

화엄사 사자탑(보물 제300호) https://youtu.be/FqzuC0HGLDc


보물 제299호 화엄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이 아니라 비로자나불이 모셔져 있다. 비로자나불을 모신 곳은 대적광전이지만 중건 당시 인조의 숙부인 의창군이 보내준 현판을 그대로 사용하다가 보니 대웅전이 되었다고 한다.


화엄사 대웅전(보물 제299호) https://youtu.be/NaU3Z5VWpbI


대웅전 옆으로는 오른쪽에는 명부전 왼쪽으로 영각 원통전 나한전이 있다.



대웅전 뒤편 선원에는 일반인들의 출입이 들어가지 못하고, 그곳에서 화엄사 뒷모습을 바라보다가 나오면서 만난 가을꽃을 만났다.







국보 제35호인 사사자 삼층 석탑은 보수중이라 만나지 못했다. 다시 화엄사에 가 봐야할 이유다


지리산 화엄사